- ‘리딩 바이블&힐링 세미나’ 열고, PRS 실천전략 제시
매년 기독교인들은 성경통독을 계획하고 또 실천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동원한다. 성경통독 캠프나 세미나에 참석하기도 하고, 도움이 되는 책이나 도구들을 구입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여럿이 함께 성경을 듣고 정기적으로 읽는 PRS(PRS Public Reading of scripture)가 확산되고 있다. 마치 함께 운동하는 것처럼, 서로 격려하고 읽으면서 성경을 더 깊이 이해할 수 있어 ‘성경읽기’의 새로운 전략으로 부각되고 있다.
한국영성목회훈련원(원장 오봉석 목사)이 지난 3월 10~12일, 경기도 안성 사랑의교회수양관에서 PRS를 교회 내에 실행할 수 있는 방안과 사례를 소개하는 ‘리딩 바이블(Reading Bible)& 힐링 세미나(Healing Seminar)를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는 여럿이 함께 성경을 듣고 정기적으로 읽는 PRS(PRS Public Reading of scripture)를 중심으로 실천전략을 세우는데 집중했다.
먼저 박에스라 목사(G&M재단 아시아본부 전무)가 PRS의 성경적 근거와 전략을 제시했다.
박 목사는 개인적인 묵상이나 성경 통독과는 다른 차원의 훈련으로, 공동체 성경 읽기가 설교 중심의 신앙에서 벗어나 성도들이 직접 성경을 이해하고 깨달음을 얻도록 돕는 데 효과적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성경읽기의 성경적 근거와 필요성에 대해 역설했다. 그는 “초대교회 시대에는 성경이 희소하여 공동체적 성경 읽기가 필수적이었는데, 현대에는 개인 성경 소지가 쉬워져 이 관행이 사라졌다”고 지적하고 “공동체성경읽기는 구약과 신약 시대에도 중요한 관행이었으며, 모세와 선지자들 뿐만 아니라 예수님도 안식일마다 회당에서 성경을 읽고 가르치셨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개인이 직접 성경을 읽고 이해한 후 성경의 해석을 듣는 것이 깨달음과 은혜의 측면에서 훨씬 효과적”이라며 PRS의 필요성을 주장하고 “꾸준히 성경을 읽어나가게 하는 것이 목적”이라고 덧붙였다.
교회 내 적용 방법에 대해서는 “단기간에 많은 분량을 읽기보다 꾸준함을 우선시해야 한다”며, 성경 읽기 문화 정착을 위한 점진적 접근을 권고했다. 예배 시간에 무리하게 도입하기보다 핵심 리더 그룹을 먼저 훈련시켜 교회 내로 확산시키는 전략이 효과적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효과적 운영 방안으로 ▲구약·시편·신약 순차적 읽기 ▲시편을 활용한 기도 ▲목표 설정과 앱을 통한 체계적 관리 ▲주 2시간 가량의 지속적 훈련을 추천했다.
세미나에서는 PRS의 여러 사례도 소개되었다. 백운주 목사는 예배와 새벽예배, 소그룹 모임 등 교회 내 실행 사례를 제시했다. 증가교회는 예배전에 본문말씀과 시편을 활용하고 예배 중에는 성서일과에 따른 성경읽기를 진행한다. 새벽기도회에서도 1년 통독 일정에 따른 PRS에 함께 참여 후 말씀을 나눈다. 또 구역활성호 방안으로 구역 모임에서 PRS를 시작해 이제는 정착 단계에 이르렀다고 설명했다. 또 70세 이상, 중고등부도 PRS를 실행하고 있다. 백 목사는 “성도들의 예배 분위기 정돈과 말씀의 집중도 향상된다”고 설명했다. 또한 “어르신부터 청소년까지 모든 세대가 PRS와 JUS에 참여하며 공동체성과 소속감 유대감이 강화되고, 단순한 모임을 넘어 신앙 성장을 도모하는 소그룹으로 발전했다”고 말했다.
원장 오봉석 목사는 “설교보다 더 중요한 것이 성경이다”면서 “이번 세미나는 공동체 성경 읽기의 필요성과 그 적용 방안을 모색하는 중요한 기회가 되었다. 교회 내에서 성경 읽기 문화가 확산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