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4-18(목)
 
국정이든, 검정이든 다종교 사회의 형평성 지켜야

3-1.jpg
 
국정 전환 어떻게 봐야 하는가?
국정 전환에 대해 가장 강력히 반발하고 있는 곳은 역시 교계 진보 연합단체인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다. 유신 정권 하에서 혹독한 탄압과 폭력속에서도 굴하지 않고 꿋꿋하게 민주화 운동을 벌였던 교회협은, 이번 역사교과서의 국정화가 과거 독재 정권이 저질렀던 잘못을 미화하고, 포장하기 위한 초석이라고 지적한다. 
세계적으로도 봤을 때 역사교과서가 국정화 된 나라는 북한, 베트남 등을 포함해 몇 나라가 안되며, 특히 선진국의 모임이라는 OECD 국가 중에서는 단 한 곳도 해당된 곳이 없다.
이러한 현상은 어쩌면 당연하다. 각 시대마다 일어나는 크고 작은 사건들에 언제나 시시비비가 있기 마련이다. 일방적인 결론으로 흐르는 경우는 그다지 많지 않으며, 국민 여론도 진보와 보수, 지역 간 성향에 따라 분명히 나뉘기 마련이다.
그렇기에 역사를 어느 한쪽이 일방적으로 기록하게 되면 반대 입장에서 볼 때는 왜곡된 역사가 되는 것이다. 또 과거의 사건에 대해서도 얼마든지 왜곡, 축소 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된다. 역사적 사실은 하나임은 분명하나, 그에 따른 해석마저 하나여서는 안되는 이유다.
국정화 추진을 반대하는 교회협 등의 교계 진보권에서는 바로 이 부분을 염려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국민들이 분명한 시각차를 갖고 있는 과거 유신 정권이나 민주화 운동 등이 해당 정권의 구미에 맞는 역사로만 기록되어질 가능성이 있다.
이렇듯 국정 전환이 바람직하지 못하다는 것은 사실 국정화를 추진하는 측에서도 인정하는 부분이다.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방침을 적극 환영한다’는 논평을 낸 한국교회언론회도, “자유민주주의 국가의 체제에서 검정교과서는 다양성 확보라는 측면에서는 국정 단일교과서보다 바람직한 측면이 있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보수권의 입장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극도로 좌편향된 지금의 검인정 체제보다는 국정화가 차라리 낫다는 것이다.
언론회는 좌편향의 근거로 2013년 모 출판사를 예로 들어 “미군은 점령군으로, 소련군은 해방군으로, 북에는 ‘민주주의’가 발전된 반면, 남에서는 오직 ‘독재’와 ‘부패’가 판을 쳤고, 6.25전쟁이 ‘남침’이란 명백한 역사적 사실을 기술하지 않았으며, 지금 대한민국의 주적은 북한이 아니라 미국이고, 북한의 핵무기는 자랑스럽게 생각해야 한다고 되어 있다”고 주장했다.
여기에 박정희 경제 개발은 군사독재 연장 수단이라 표현한 반면, 김일성의 정적 숙청은 사회주의 가꾸기로 기술했으며, 새마을운동은 유신체제 정당화를 위한 수단으로, 북한 천리마 운동은 경제 건설로 표기했다고 밝혔다.
아무리 역사에 대해 창의적이고, 다양한 시각으로 바라봐야 하지만, 도가 지나친 사실 왜곡은 용납할 수 없다는 것이다. 거기에 역사 왜곡의 수준이 국가의 근간마저 흔들고 있다며, 이럴 바에는 차라리 국정화가 훨씬 낫다는 판단에 이른 것이다.
 
역사교과서에서 사라진 기독교
한국교회가 그간 역사 교과서를 보면 가장 분개했던 이유는 바로 기독교에 대한 역사 축소 문제 때문이다. 많은 교과서들이 근대 역사에서 기독교에 대한 언급을 한 두 줄로 끝내거나 심지어 아예 없는 경우도 있었다.
지난 일제 강점기의 암울한 시대, 이 땅에 교육과 의료의 손길을 뻗치며, 국민들의 복지를 위해 힘썼던 것은 기독교 선교사들이었다. 그 뿐 아니라 독립선언 33인 중 기독교 인사가 16인이나 포함된 것 등 기독교가 독립운동에도 적극 참여했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 뿐 아니라, 한국사회가 군사독재의 그늘에서 벗어나 민주주의를 꽃을 피운 80년대 민주화 운동의 한복판에는 기독교가 그 중심에 있었다. 폐쇄적인 타종교와는 다르게 사회를 향해서도 적극적인 행동을 벌였던 기독교의 인사들은 당시 상당수가 옥고를 치러야만 했다.
이러한 기독교의 역사는 분명한 사실이다. 이 모든 내용을 다 서술해야 한다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적어도 타종교와의 비중은 맞춰야 하지 않는가? 민간신앙까지도 기록된 역사교과서에 기독교가 등장하지 않는 것을 보며 어찌 종교편향을 의심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이를 두고, 진보권에서는 종교가 개입할 문제가 아니라고 지적한다. 역사에 대한 판단과 기록은 역사학자의 몫이지, 종교의 개입사항이 아니라는 것이다.
하지만 여러 종교가 공존하는 다종교사회에서 종교간의 형평성을 이토록 해친다는 것은 지적받아 마땅한 사안으로, 이에 대한 무조건적인 수긍을 강조해서는 안되는 문제다.
앞으로 새롭게 바뀔 교과서에서는 결코 어느 특정 종교를 확대하거나, 축소하는 것 없이 공정하게 서술되어야 할 것이다.
태그

BEST 뉴스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해설 / 역사교과서 논란, 기독교 내 쟁점은 무엇인가?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