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계, 제3의 연합단체 출범에 극히 우려
제3의 단체 아니라는 ‘한교총’
이번 출범식에 함께한 교단은 선언문을 통해 먼저 “한국기독교총연합회(한기총)와 한국교회연합(한교연)으로 나뉘어 각각 속한 단체의 목적만을 주장해온 현실을 회개하며, 가슴 아픈 역사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 교단 중심의 연합단체로의 복원을 추진해 왔다”고 한교총 출범의 의의를 밝혔다.
이어 “한국교회 교단 대표자들인 우리는 각각 소속한 한기총과 한교연 등 양 단체와 실질적 연합방안을 모색하되, 현실적 결론을 조속히 도출하므로 빠른 시일 내에 이전 복원된 연합단체를 출범한다”고 선언했다.
또한 “한교연과 한기총은 각 단체가 할 수 있는 모든 조치를 선결하며, 협조하는 단체와 함께 복원된 연합단체 출범을 진행해 나간다”며 “이는 금번 연합추진이 ‘제3단체화 한다’는 우려를 불식하고 과거 자랑스러웠던 한국교회 연합단체로의 복원임을 규정한다”고 했다.
그러나 이들이 한교총에 대해 “‘제3 단체화 한다’는 우려를 불식한다”는 선언과는 다르게 이미 교계 다수는 한교총에 대해 제3의 단체로 규정하고 있다. 특히 한기총과 한교연의 통합을 추진했던 교단장회의가 양 단체의 통합 여부와 관련없이 한교총을 출범한 것에 대해 일부에서는 애초부터 단체 통합에는 관심이 없던 것 아니냐는 의심마저 보내고 있는 상황이다.
이 외에도 이들은 “복원된 연합단체는 한국교회 연합운동의 성과로 평가되는 한국기독교총연합회 2011년 7월7일 개정정관을 기본 틀로 한다. 이는 현재 한교연과 한기총에 속한 교단 중 7.7정관 이전 가입교단과 교단장회의 회원 교단(23개)을 포괄함을 의미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현재 양 단체에 가입된 기관에 대하여는 별도 규정을 두어 합류하여 참여케 하며, 7.7정관 이후 가입된 교단은 재심하며, 화목을 깨는 이단성 시비가 없도록 선명하게 조치한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WCC를 다원주의 이단으로 규정하고, WCC 관련자와는 교류조차 금지한다는 총회결의를 한 예장합동이 과연 WCC 회원교단인 예장통합, 기감과 어떠한 관계를 이룰지는 여전히 미지수다. 더구나 합동 내부에서는 이미 이를 두고 상당한 반발이 올라오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앞으로 치열한 내부 혼란마저 예고되는 상황이다.
교단 규모에 따른 조직 구성
이번에 출범하는 한기총은 사실상 친목단체인 교단장회의가 그 한계를 극복하고자 만든 정치 단체라는 색채가 강하다. 그런만큼 이번 한교총 출범의 중심은 바로 교단장회의에 가입한 23개 교단이다.
한교총은 이들 교단들과 함께 한기총의 7.7정관을 기본 틀로 삼아 7.7정관 이전 가입교단을 그대로 인정하고, 이후 가입된 교단들은 재심하며, 교단장회의에 참여하는 교단들과 함께 교단 중심의 연합기관으로 발전시켜나간다는 방침을 밝혔다.
하지만 한교총은 무인가 신학교를 인정치 않는다는 것이 기본 방침이다. 하지만 7.7정관 이전에 있던 66개 교단 중 10여개를 제외하고는 대다수가 무인가 신학교를 운영하는 군소교단이다. 그렇다면 한교총은 이들 교단에 대해서는 어떻게 받아들인다는 것인가?
이는 한기총과 한교연이 통합을 한다해도, 한교총에 들어갈 수 있는 교단은 극히 제한될 수 밖에 없다는 말이다.
이런 상황에 한교총이 교단 상위기관이 아니라 교단들의 연합기관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지만, 과연 해당 교단들이 평등한 지위를 갖느냐는 본질적인 의문이 생긴다. 교계 연합사업은 교단의 규모나 재정에 상관없이 똑같은 지위를 보장하며, 같은 위치에서 서로 온전히 연합해야 함이 기본이다.
하지만 한교총은 이미 교단의 규모로 그 지위를 구분했다. 이들은 기본 조직에 대해 “국내 대형교단인 7개 교단(합동, 통합, 기감, 대신백석, 기하성여의도, 기성, 기침)의 현직 총회장이 대표자로 운영해 나간다. 이중 3개 교단 현직 총회장이 공동대표를 맡고, 7개 교단장으로 상임회장단을 구성하며, 교단장회의 소속 15개 교단장들이 실무회장단을, 가입교단 현직 교단장들이 공동회장단을 구성하게 된다”고 밝혔다.
이는 한교총이 철저히 힘과 규모에 의해 좌지우지되는 조직이라는 것을 밝힌 셈이다. 더구나 3개 교단의 공동대표 체제는 무려 5년간 지속된다. 출범부터 3개 대형교단에 향후 5년간의 대표 자리를 보장한 것이다.
이는 교계의 ‘갑’이 누군지를 여실히 보여주는 단적인 사례로 대형교단이 연합운동에 임하는 오만과 독선의 전형을 보여주는 지독한 욕심이다.
여기에 한교총은 “한기총과 한교연이 잡음과 마찰 없이 완전하게 본 한교총에 참여하게 되기를 바라며, 현재 한기총과 한교연에 가입된 기관들에 대하여는 한국교회 연합과 복음전도의 사명을 함께 한다는 전제 하에 동역할 새로운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제 확실해진 것은 한기총과 한교연의 통합은 더 이상 없으며, 오직 한교총으로의 흡수만이 있다는 사실이다.
한국교회는 아직 아무도 이들에게 대표성을 주지 않았다. 단순히 대형교단들이 참여했다는 이유로, 기존의 질서와 역사를 무시한 채 무조건 이들의 행보에 동참해야 한다는 것은 철저한 ‘갑’질이다.
한국교회의 연합이라는 대명제에는 찬성해야 겠지만, 이미 출범 과정 속에서 구린내 나는 정치색이 흠씬 묻어난 한교총은 이미 그 시작부터 한국교회의 대표성기에는 그 자격에 심각한 문제가 있다.
<차진태 기자>
이번 출범식에 함께한 교단은 선언문을 통해 먼저 “한국기독교총연합회(한기총)와 한국교회연합(한교연)으로 나뉘어 각각 속한 단체의 목적만을 주장해온 현실을 회개하며, 가슴 아픈 역사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 교단 중심의 연합단체로의 복원을 추진해 왔다”고 한교총 출범의 의의를 밝혔다.
이어 “한국교회 교단 대표자들인 우리는 각각 소속한 한기총과 한교연 등 양 단체와 실질적 연합방안을 모색하되, 현실적 결론을 조속히 도출하므로 빠른 시일 내에 이전 복원된 연합단체를 출범한다”고 선언했다.
또한 “한교연과 한기총은 각 단체가 할 수 있는 모든 조치를 선결하며, 협조하는 단체와 함께 복원된 연합단체 출범을 진행해 나간다”며 “이는 금번 연합추진이 ‘제3단체화 한다’는 우려를 불식하고 과거 자랑스러웠던 한국교회 연합단체로의 복원임을 규정한다”고 했다.
그러나 이들이 한교총에 대해 “‘제3 단체화 한다’는 우려를 불식한다”는 선언과는 다르게 이미 교계 다수는 한교총에 대해 제3의 단체로 규정하고 있다. 특히 한기총과 한교연의 통합을 추진했던 교단장회의가 양 단체의 통합 여부와 관련없이 한교총을 출범한 것에 대해 일부에서는 애초부터 단체 통합에는 관심이 없던 것 아니냐는 의심마저 보내고 있는 상황이다.
이 외에도 이들은 “복원된 연합단체는 한국교회 연합운동의 성과로 평가되는 한국기독교총연합회 2011년 7월7일 개정정관을 기본 틀로 한다. 이는 현재 한교연과 한기총에 속한 교단 중 7.7정관 이전 가입교단과 교단장회의 회원 교단(23개)을 포괄함을 의미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현재 양 단체에 가입된 기관에 대하여는 별도 규정을 두어 합류하여 참여케 하며, 7.7정관 이후 가입된 교단은 재심하며, 화목을 깨는 이단성 시비가 없도록 선명하게 조치한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WCC를 다원주의 이단으로 규정하고, WCC 관련자와는 교류조차 금지한다는 총회결의를 한 예장합동이 과연 WCC 회원교단인 예장통합, 기감과 어떠한 관계를 이룰지는 여전히 미지수다. 더구나 합동 내부에서는 이미 이를 두고 상당한 반발이 올라오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앞으로 치열한 내부 혼란마저 예고되는 상황이다.
교단 규모에 따른 조직 구성
이번에 출범하는 한기총은 사실상 친목단체인 교단장회의가 그 한계를 극복하고자 만든 정치 단체라는 색채가 강하다. 그런만큼 이번 한교총 출범의 중심은 바로 교단장회의에 가입한 23개 교단이다.
한교총은 이들 교단들과 함께 한기총의 7.7정관을 기본 틀로 삼아 7.7정관 이전 가입교단을 그대로 인정하고, 이후 가입된 교단들은 재심하며, 교단장회의에 참여하는 교단들과 함께 교단 중심의 연합기관으로 발전시켜나간다는 방침을 밝혔다.
하지만 한교총은 무인가 신학교를 인정치 않는다는 것이 기본 방침이다. 하지만 7.7정관 이전에 있던 66개 교단 중 10여개를 제외하고는 대다수가 무인가 신학교를 운영하는 군소교단이다. 그렇다면 한교총은 이들 교단에 대해서는 어떻게 받아들인다는 것인가?
이는 한기총과 한교연이 통합을 한다해도, 한교총에 들어갈 수 있는 교단은 극히 제한될 수 밖에 없다는 말이다.
이런 상황에 한교총이 교단 상위기관이 아니라 교단들의 연합기관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지만, 과연 해당 교단들이 평등한 지위를 갖느냐는 본질적인 의문이 생긴다. 교계 연합사업은 교단의 규모나 재정에 상관없이 똑같은 지위를 보장하며, 같은 위치에서 서로 온전히 연합해야 함이 기본이다.
하지만 한교총은 이미 교단의 규모로 그 지위를 구분했다. 이들은 기본 조직에 대해 “국내 대형교단인 7개 교단(합동, 통합, 기감, 대신백석, 기하성여의도, 기성, 기침)의 현직 총회장이 대표자로 운영해 나간다. 이중 3개 교단 현직 총회장이 공동대표를 맡고, 7개 교단장으로 상임회장단을 구성하며, 교단장회의 소속 15개 교단장들이 실무회장단을, 가입교단 현직 교단장들이 공동회장단을 구성하게 된다”고 밝혔다.
이는 한교총이 철저히 힘과 규모에 의해 좌지우지되는 조직이라는 것을 밝힌 셈이다. 더구나 3개 교단의 공동대표 체제는 무려 5년간 지속된다. 출범부터 3개 대형교단에 향후 5년간의 대표 자리를 보장한 것이다.
이는 교계의 ‘갑’이 누군지를 여실히 보여주는 단적인 사례로 대형교단이 연합운동에 임하는 오만과 독선의 전형을 보여주는 지독한 욕심이다.
여기에 한교총은 “한기총과 한교연이 잡음과 마찰 없이 완전하게 본 한교총에 참여하게 되기를 바라며, 현재 한기총과 한교연에 가입된 기관들에 대하여는 한국교회 연합과 복음전도의 사명을 함께 한다는 전제 하에 동역할 새로운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제 확실해진 것은 한기총과 한교연의 통합은 더 이상 없으며, 오직 한교총으로의 흡수만이 있다는 사실이다.
한국교회는 아직 아무도 이들에게 대표성을 주지 않았다. 단순히 대형교단들이 참여했다는 이유로, 기존의 질서와 역사를 무시한 채 무조건 이들의 행보에 동참해야 한다는 것은 철저한 ‘갑’질이다.
한국교회의 연합이라는 대명제에는 찬성해야 겠지만, 이미 출범 과정 속에서 구린내 나는 정치색이 흠씬 묻어난 한교총은 이미 그 시작부터 한국교회의 대표성기에는 그 자격에 심각한 문제가 있다.
<차진태 기자>
ⓒ 교회연합신문 & www.ecumenicalpres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