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배회복, 반성경적 악법 대처 등 ‘대통합’ 시급
‘선(先) 통합’ 후 하나된 단체에서 이단 문제 해결해야
모두의 기대 속에 대차게 첫 발을 뗀 한국교회 대통합 프로젝트가 또다시 제동이 걸릴 태세다. 당장 예배 회복을 필두로 차별금지법과 평등법 저지 등 한국교회에 있어 단 한 시도 미룰 수 없는 시급한 사안이 즐비한데 이런 현실은 무시한 채 ‘선(先)조율 후(後)통합’이라는 느긋한 얘기가 흘러나오고 있다.
최근 한교총은 교계 대통합을 위한 ‘미래발전위원회’와 실무협상을 책임질 ‘기관통합준비위원회’를 동시에 구성하고 한기총과의 본격적인 통합에 나섰다. 상임위는 소강석 목사(한교총 이사장, 예장합동)와 김태영 목사(한교총 전 공동대표, 예장통합)를 각 위원장으로 만장일치 추대하고, 교계 대통합을 시급히 완수키로 중지를 모았다.
그러나 통합 실무를 맡은 김태영 목사가 최근 소속 교단지와의 인터뷰에서 한기총의 이단 해제, 금권 선거 등의 문제를 언급하며, 해당 문제들의 해결 없이 통합 협상도 있을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러한 김 목사의 발상이 한국교회 대통합에 찬물을 끼얹었다는 비난을 듣는 것은 그것이 한국교회가 분열한 지난시간 간간히 추진됐던 통합 시도를 매번 무산시킨 단골 레퍼토리였기 때문이다. 애초에 이단문제는 서로간의 첨예한 이견이 부딪치는 극히 예민한 사안으로, 단순히 조율과 협상으로 이를 해결하기란 사실상 불가능하다. 그렇기에 언제부터인가 이단 문제는 통합 논의에 있어 선결 조건이라기보다는 통합 무산을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어 왔다. 이런 상황에 김태영 목사가 기관통합준비위원장에 오른 직후, 또다시 이단 문제를 선결 조건으로 내걸었다는 것은 오히려 통합을 거부하는 것 아니냐는 의심을 살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사실 김태영 목사가 주장하는 ‘선(先)조율 후(後)통합’이란 형태는 통합에 있어 매우 이상적임은 분명하다. 서로 다른 두 단체가 하나가 되기 위해서는 해결하고, 조율해야 할 문제들이 한 두 개가 아니다. 하지만 지금 한국교회의 상황은 이런 느긋한 여유를 허락치 않는다. ‘원 리더십’을 확보하지 못한 한국교회는 코로나 상황에 정부의 방역정책에 끌려다니기 바쁘고, 급기야 예배 인원을 방역당국이 정하는 굴욕(?)까지 맛봐야 했다. 여기에 일부 정치계에서는 교회와 사회의 전통 규범을 위협하는 독소조항을 다수 포함시킨 비슷한 법안(포괄적차별금지법, 평등법(이상민 법), 건강가정기본법 수정안, 평등법(박주민 법))들을 연일 쏟아내고 있다. 과거 하나된 한국교회에서는 결코 상상할 수 없는 일들이 지금 사분오열된 한국교회에서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그렇기에 지금의 위급한 현실은 한국교회로 하여금 ‘선(先)조율 후(後)통합’이 아닌 ‘선(先)통합 후(後)조율’이 해답임을 알려주고 있다. 현 한국교회에 있어 ‘예배회복’이 가장 시급한 난제라는 것에 이견을 달 사람은 없고, 분열된 힘으로는 이를 해결할 수 없다는 것도 모두가 공감한다. 그렇다면 답은 하나다. 해묵은 문제는 일단 뒤로 잠시 넘겨두고, 예배 회복과 코로나 대처라는 대의적인 목표에 집중해야 한다. 당연히 통합이 먼저다.
이단 문제는 통합된 단체에서 회원들의 다수결을 통해 이를 처리하면 될 뿐이다. 그게 법이고, 원칙이다. 오히려 현 상황에서 이단 문제의 해결을 강조하는 것은 더 큰 부작용을 낳을 가능성이 크다. ‘이단’의 기준은 각 교단마다 다르고, 서로가 이단으로 정죄한 집단, 인물, 단체가 매우 상이하다. 예장통합측의 기준에서 판단한 한기총 내부의 이단 문제와 합동, 기성, 기침, 기감 등 여타 한교총 회원교단들의 입장이 서로 다를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그런 상황에 김태영 목사가 단순히 자기 교단의 이단 기준만 들이대 한기총을 판단한 것 자체가 애초에 모순일 수 밖에 없다.
여기에 자칫 한교총 스스로가 자가당착에 빠질 우려가 있다. 한교총 회원교단 사이에서도 상대 교단의 인물이나 단체를 이단 혹은 교류금지 등으로 정죄한 사례가 많은데 그런 상황에 굳이 한기총을 향해서만 이단 해결을 요구하는 것은 한교총 자체의 이단 기준이 서지 않는 한 불가능하다.
더욱이 한교총이 ‘선(先) 통합’ 없이 ‘이단 문제’를 선결과제로 고집한다면, 한기총 역시도 WCC를 선결과제로 끄집어낼 가능성이 크다는 점을 잊어서는 안된다. WCC는 한국교회가 지난 숱한 분열 속에서도 60년간 전혀 의견을 좁히지 못한 사안, 만약 이번 통합 논의에 WCC가 등장한다면, 이 통합은 어려워질 수 밖에 없다. 그렇기에 이단 문제는 하나된 통합 단체에서 이를 논의하고 해결해야 함이 옳다. 논란이 되는 교단이나 인물이 있다면, 회원들의 의견을 모아, 잔류, 퇴출 등을 결정하면 될 일이다.
지금은 오직 한국교회의 유익을 위한 결정을 내려야 한다. 당장 무너져 가는 예배를 회복하고, 반성경적 악법을 저지키 위해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 그 일의 선제조건은 당연히 대통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