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누라 자식 빼곤 다 바꿔라" -고 이건희 회장-
"변화해야 할 것에는 빨리 순응하고, 변화하지 않는 것은 소중하게 지켜라" -소강석 목사-
현대사회의 최대 재앙으로까지 꼽혔던 코로나 펜데믹이 지난 3년의 광포한 시간을 뒤로한 채 서서히 막을 내려 가고 있다. 서로의 얼굴을 가렸던 마스크가 점차 사라지고, 가다서다를 반복했던 학교와 직장의 일상은 이제 대부분 정상으로 회귀했다.
하지만 한국교회의 모습은 여전히 혼란하기 그지없다. 마치 코로나의 후폭풍이 교회에만 매섭게 잔존하는 듯, 한국교회의 코로나는 여전히 'Ing'다.
이러한 현실은 한국교회 스스로를 향해 냉철한 비판을 요구하고 있다. 왜 한국교회의 코로나는 끝나지 않고 있는가? 무엇이 오늘날의 한국교회를 나약하게 만든 것인가?
한국교회의 가장 큰 패착은 변화에 대한 실패다. 70~80년대 기적과도 같은 부흥을 겪은 한국교회는 그때의 감흥을 수십년이 지난 현재까지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더 큰 문제는 교회가 가장 부흥했던 그때의 모습을 교회의 모범으로 정형화 시킨 점이다.
한국교회가 시대의 변화에 뒤쳐질 수 밖에 없던 것은 '변화' 자체를 스스로 정한 '모범'에서 벗어난 반교회적 사고로 규정했기 때문이었다. 이러한 어리석음은 결국 한국교회를 매우 약하게 만들었다. 자그마한 물결에도 흔들리는 조각배가 되어, 막막한 망망대해 위에서 불안한 항해를 계속해 왔다. 변화를 거부하며 위기대응능력을 전혀 키우지 못한 한국교회에 있어 코로나 펜데믹이 집채만한 해일처럼 보일 수 밖에 없었던 것은 어쩌면 당연했던 것이다.
1517년 루터와 칼빈의 종교개혁 이후, 교회의 모습은 시대의 상황에 맞게 변화해 왔다. 장로교회의 핵심인 개혁(Reformed)은 바로 온전한 변화에서 출발한다. 개혁을 거부하고 변화를 멈추는 교회는 결코 온전한 교회가 아니라는 것이다.
코로나 시대 새에덴교회의 모습은 교계 뿐 아니라 사회 전체의 관심을 집중시켰다. 코로나 초기 방역 대응부터 예배 대처, 지역사회와의 관계 등 모든 면에서 차별화된 선진성을 보여줬다. 여기에 최근에는 엔데믹 시대에 걸맞는 시스템, 엔데믹의 이후를 대비한 목회 전략 등을 선보이며, 다시 한 번 관심을 받고 있다.
새에덴교회의 돋보이는 위기대처 비결의 바탕에는 '변화'에 주저하지 않았던 개혁정신이 있었다. 끊임없이 갈고 닦은 변화를 통해 갖춘 '기본기'는 지난 3년 간 시시각각 바뀌는 상황에 대한 유연한 대처를 가능케 했고, 변화가 곧 힘이라는 사실을 증명해 냈다.
삼성을 세계적 기업으로 일군 고 이건희 회장과 새에덴교회의 소강석 목사는 개혁에 대한 공통적 시각을 견지한다. 지킬 것은 철저히 지키되 바꿀 것은 결코 주저하지 말아야 한다는 시대적 비전이다.
이러한 그들의 추진력은 세계 최고의 기업 '삼성'을 만들었고, 한국교회의 새로운 모델이 된 '새에덴교회'를 있게 했다.
지난 코로나는 한국교회로 하여금 교회의 모범적 모습에 대한 새로운 답변을 요구하고 있다. 우리가 알고 있던 당연한 정답들이 때로는 시대에 뒤처진 케케묵은 고정관념일 수도 있다는 사실을 의심하는 것, 바로 그것이 변화의 출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