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930년대 초 한국교회를 이끌었던 한 설교자를 꼽자면 이용도(1901~1933) 목사를 말하는 것이 무리가 아닐 것이다. 서른셋에 요절한 그는 4년여에 걸쳐 북간도에서 경상남도에 이르기까지 초교파적으로 초청을 받아 수많은 교회에서 ‘조선 기독교의 재출발’을 촉구하며 열정적으로 설교했던 당대의 대표적인 설교자다.
집회는 보통 5일이요 길게는 2주간 진행되기도 했다. 설교는 1, 2시간이 예사요, 길 때는 5시간에서 7시간까지 이어졌다. 회중은 무엇에 홀린 사람처럼 얼빠진 채로 설교를 들었다. 무릎 위에 사람을 앉힌 채로 꼼짝 않고 듣기도 했다. 예배당 수용인원을 배 이상 초과하여 벽돌담이 허물어진 적도 있었다. 이용도의 설교를 듣고자 산 넘고 강 건너 300리, 400리를 걸어서 오는 무리도 있었다.
‘이용도의 설교가 어떠했기에 당시 교회는 그토록 열광했던 걸까? 이용도의 설교란 어떠한 것이었고, 설교자 이용도란 어떠한 사람이었나? 이 질문에서 오늘의 교회는 시대의 유혹과 무기력을 극복할 힘을 얻을 수 있지 않을까? 다시 말해, 한국 기독교 재출발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지 않을까?’
저자는 이런 질문의 답을 찾기 위해 이용도의 현장 설교 21편과 문서 설교 26편에 접근했다. 그 결과물인 ‘설교와 성경’은 제1부 설교와 제2부 성경그리고 부록으로 구성된다.
제1부 설교는 이용도의 현장 설교 필기 21편을 담았다. 이러한 설교 필기는 이용도 자신이 아닌, 설교를 듣고 있던 사람들이, ‘혼자만 듣고 있을 수 없다’, ‘적어 놓지 않으면 안 되겠다’라는 충동에 이끌려 때로는 현장에서, 때로는 집으로 돌아가 필기해 놓은 것이라는 특징이 있다. 그들의 ‘기록 행위’는 결국 훗날 후대인들로 읽게 하려 함이었을 것이리라. 제1부에서 독자는 이용도의 설교가 지닌 힘 그리고 맛과 함께, 그 기록자들의 뜻과 눈물도 읽게 될 것이다.
제2부 성경은 이용도의 문서 설교 26편을 다루었다. 이는 개신교 연합기구인 조선주일학교연합회에서 이용도에게 집필을 맡겼던 장년 성경공과를 그 내용으로 한다. 주일학교연합회는 전 조선교회에서 공동 사용할 목적으로 이 공과를 “장로회 감리교 성결교회 등에서 각각 대표되시는 목사를 추천하여 1학기씩 분담 집필케” 했는데, 이용도에게 1932년도 하반기 성경공과가 맡겨졌던 것이다. 잘 짜인 ‘문서설교집’의 꼴을 한 이용도의 성경공과는 ‘이용도 이해’에 상당한 도움을 준다. 26주 치의 이 성경공과를 통해 이용도의 신앙만 아니라 한국교회를 향한 이용도의 간절한 뜻도 만나게 될 것이다.
부록에는 편자의 논문, “이용도의 설교와 설교자 이용도”, “설교 필기의 때와 곳 검토”, “만국통일공과 : 이용도 문서 설교집을 만나다”가 실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