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5-14(화)
 
4월15일자 D신문에 보면, “11일자 C5면 TV하이라이트의 ‘쌍계사 봄 풍경’ 기사에서 ‘쌍계사’는 ‘충남 논산의 쌍계사’가 아니라 ‘경남 하동의 쌍계사’입니다” “12일자 A30면 ‘여대생 공기총 살해’ 기사의 그래픽 중 여대생 하모 씨가 공기총을 맞고 숨진 채 발견된 장소는 ‘경남 하남시 검단산’ 이 아니라 ‘경기 하남시 검단산’입니다” J신문에는 “4월14일자 17면 틴틴월드에 들어간 지도에서 러시아령인 사할린을 일본 영토인 것처럼 잘못 표시해 바로 잡습니다. 또 북한, 이란, 시리아를 ‘향후 공격 대상국가’라고 했으나 ‘향후 공격 가능 국가’로 고칩니다” “4월12일자 10면 ‘적자 누적 콩코드기 퇴출’ 기사에서 시속 1370km는 1370마일이기에 바로 잡습니다” “4월14일자 5면에 실린 사진설명 중 ‘뤼순 감옥 모형도’는 ‘충칭(重慶) 임시정부 청사 모형도’의 오기이므로 바로 잡습니다” H신문에는 “14일치 20면 ‘전황증시 소외 저평가주 틈새 잡아라’ 기사에서 주가수익 비율표의 ‘롯데제약’은 ‘롯데제과’의 잘못입니다” “14일치 17면 ‘경제팀 개혁간데 없고 안정만 남았다’ 기사에서 ‘이정우 정책실장이 임명되기 전에 이미 정책수석과 경제보좌관, 그리고 세 명의 정책실 비서관 중 두 사람이 재경부에 의해 정해졌다’는 부분 중 ‘재경부에 의해’라는 표현은 잘못된 것입니다” “14일치 3면 ‘공직개방 여전히 높은 문턱’ 기사에서 ‘개방직에 민간인 출신이 1명도 없는’ 부처로 거론된 사례 중 건설교통부의 경우 1명이 있는 것으로 고칩니다” 14일자 또 다른 J신문에 보면, “10일자 D5면 영화 ‘황야의 7인’ 사진 설명 중 찰스 브론슨은 오른쪽에서 세 번째가 아니라 네 번째이기에 바로 잡습니다” 이와 같이 신문의 오기(誤記)를 바로 잡는 내용을 독자들은 거의 매일 신문에서 보게 된다. 그렇다고 모든 신문이 ‘정정(訂正)란’을 두는 것은 아니다. 신문들이 스스로 ‘바로 잡음’을 게재하고 있지만, 이보다는 독자나 시청자, 시민들과 이해 당사자들에 의한 이의제기에 따라서 시정되는 경우도 많다. 한국신문윤리위원회는 지난 2월26일 동 위원회 회의실에서 제752차 회의를 갖고 심의한 결과 8개 신문의 기사와 1개 신문의 연재소설에 공개 경고를 내리고 11개 신문의 기사와 1개 신문의 연재소설, 1개 신문의 광고에 비공개 경고를, 6개 신문의 기사와 1개 신문의 연재소설과 10개 신문의 광고에 주의조치를 내렸다. ‘공개경고부문’에서는 스포츠신문이 3개를, 지방신문이 1개를 받았다. ‘비공개경고부문’에서는 스포츠신문이 5개를, 지방신문이 2개를 받았다. ‘주의부문’에서는 중앙일간지가 2개를, 스포츠신문이 3개를 차지하였다. 한편, 방송위원회도 지난 2월중에 5번의 방송 프로그램에 대하여 ‘시청자에 대한 사과’를 명령했다. 3번의 프로그램에 대하여는 ‘해당 프로그램에 대한 경고’를 명령했고 4개의 방송에 대한 ‘경고’를 심의하여 발표하였다. 또 언론중재위원회는 2월 한 달간 41건의 중재신청을 접수해 합의 16건, 중재결정 3건, 중재불성립 1건, 기각 5건, 취하 16건을 처리하였다. 인쇄 매체와 전파를 타고 언론은 수많은 정보를 쏟아내고 있다. 현대에 있어서 언론을 통한 정보를 접하지 않고서는 생활이 불가능해 질 정도로 중요성이 인정되고 있다. 하지만 그 많은 정보 가운데 사실과 다른 것이 전달되어 진다면 이는 편리성을 능가하는 정보혼란이 될 것이다. 오기(誤記)에 대하여 일부 언론들이 정정성의를 표시하는 것은 독자와의 신뢰성을 위한 작은 단초(段初)가 될 것이다. 그러나 이보다 더 문제가 되는 것은 오보(誤報)이다. 오보는 단순히 철자나 지명의 정정 정도가 아니고 사건과 사실 전체를 왜곡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언론들은 오보에 대한 정정에는 쉽게 응하려 하지 않는 것이 사실이다. 언론 스스로의 권위손상으로 간주하기 때문이다. 사실 언론이 너무 자주 기사 내용을 정정한다는 것도 독자나 시청자에게는 혼란을 불러올 가능성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렇지만 정말 중요한 것은 오보를 내지 않으려는 언론의 노력과 함께 오보를 사실로 정확히 매듭짓는 책임이 필요하다. 시간이 지나 오보로 남아 있는 기사는 역사적 가치로 인정받을 수 없을 것이다. 언론이 피치 못하게 오보를 낼 수 있다면 그 오보를 바로 잡으려는 철저함이 언론신뢰에 대한 평가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한국교회언론회(www.chpr.org)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바로잡습니다’의 의미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