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경 및 전통신학의 교의에 충실··· 주관적 체험에 대해서는 연구키로
- 직통계시에 의한 구원 혹은 자기 체험의 절대성 주장한 적 없어
서사라 목사의 신학과 신앙사상에 별다른 문제가 없다는 또 한 번의 연구 결과가 나왔다. ‘다름’과 ‘틀림’의 부분을 명확히 구분하고, 신학적 접근의 다양성을 인정해야 한다는 것인데, 서 목사에 대한 과도한 오해가 불식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대한예수교장로회 합동해외총회 이단대책위원회(위원장 박요한 목사, 서기 배영재 목사)는 최근 서사라 목사(주님사랑의교회, 한국명 서상아)에 대한 신학과 신앙, 목회적 부분에 대해 전혀 문제가 없다는 연구 결과를 내놓았다. 다만 성삼위 하나님께 조명 받은 것 등 그의 주관적인 체험에 대해서는 연구 과제로 남겼다.
동 이대위는 이번 서 목사 신학 사상 점검을 위해 국내외 유수 목회자 신학자들을 참여 시켰다. 위원장 박요한 목사를 비롯해 서기 배영재 목사, 정복희 목사, 박준규 목사, 용화순 목사, 최호영 교수, 홍륜의 교수 등이 함께한 이번 연구에서 이들은 그간 논쟁이 일었던 서 목사의 주요 저서를 살폈다.
이대위는 서사라 목사의 저서와 간증, 그리고 신앙고백 전반을 검토했다. 특히 서 목사가 저술한 천국과 지옥 관련 간증서들에 대해 몇 가지 신학적 쟁점에 집중, 연구했다. 이대위는 지금까지 서 목사를 연구해온 한국신학자들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검증에 들어갔다.
동 위원회는 연구결과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서영곤 박사는 서사라 목사의 주장에 대해 일정 부분 동의했다. 총신대 서요한 교수는 서 목사의 간증이 성도들에게 각성과 회개의 기회를 제공한다는 데 의미를 두었다”면서, “서사라 목사의 주장이 철저히 신학적으로 정리됐다고 단언할 수는 없으나, 그 내용이 지속적인 연구와 논의의 필요성이 있다”고 평가했다.
또한 이대위는 “서 목사는 정통 신학대학원의 목회학 석사(M.Div.) 과정을 수료하고, 한국과 미국 등 세계 여러 나라에서 하나님나라운동을 벌이면서, 기독교지도자로서 쓰임을 받고 있다”면서, “다만 서사라 목사의 저서 내용 중 주관적 체험에 근거하여 쓰인 부분이 강하여 언론의 비판을 받았고, 실제 문제의 저서를 공개적으로 소각한 사례도 있었다”고 언급했다.
이와 함께 서사라 목사의 신학적 자격도 확인했다. 무엇보다 이대위는 신학적 쟁점과 관련해 대표적으로 몇 가지 문제에 대해 사실관계를 정리했다.
이에 따르면 △서 목사는 삼위 하나님에 대하여 ‘구분’이 아닌 ‘구별’이라는 전통적 교의신학의 해석을 따르고 있다. △예수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을 겸한 존재를 부정하거나 예수를 피조물로 보는 일부 주장에 대하여, 서 목사는 성경과 전통 신학자들의 견해를 따르며, ‘예수 그리스도는 곧 여호와’라는 고백은 양태론적 이단성을 의미하지 않는다 △서사라 목사는 직통계시에 의한 구원을 주장하거나 자신의 체험을 절대화하지 않았으며, 오직 예수 그리스도를 매개로 믿음으로 구원이 받는다 등 정통 신학에서 벗어나지 않았다고 평가됐다.
이대위는 서 목사의 신앙고백 역시 구체적으로 살폈다. “서 목사는 고대 일곱 에큐메니컬 공의회들 가운데 니케아(325)의 삼위일체론, 콘스탄티노플(381)의 성령론, 에베소서의 구원론 및 칼세톤의 정통기독론은 하나의 거룩하고 보편적인 사도적교회 정통성의 표준으로서 오늘날에도 보편타당성을 갖는다”고 결론을 내렸다.
그리고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스코틀랜드 신앙고백, 벨기에 신앙고백. 제2 스위스 신앙고백, 웨스터민스터 신앙고백 등 16세기 개혁교회의 신앙고백서들 및 신학선언(1934) 등은 보편적 개혁의 신앙고백들로서, 개혁교회의 정당성이 표준이라고 하며 에큐메니칼 신조들과 개혁교회 신앙고백서들은 그리스도교 정통성을 위한 제2차 표준이라고 했다”며, “전통 개혁교회의 신앙고백을 모두 정통의 기준으로 삼고 있는 만큼, 신학적, 신앙적 문제가 될 수 없다”고 덧붙였다.
또 ‘본 교단의 이단성 연구는 그가 속한 교단의 신앙고백으로 이단성을 증명하고, 그 다음 연구하는 교단의 신앙고백서 상의 이단성을 지적하고, 마지막으로 세계적인 신조나 신앙고백 선언서 상의 내용으로 이단성을 지적해야 된다’고 이영호 목사의 주장을 인용, 이단성을 규정해야 한다고 매듭졌다.

결론적으로 이대위는 서사라 목사는 성경 66권을 하나님의 정확무오한 말씀으로 믿는다며, 삼위일체 하나님에 대한 정통 신앙을 고백하고 있음을 인정했다. 천국과 지옥에 대한 체험 역시 철저히 개인적 체험으로 이해하고, 이를 자의적으로 절대화하거나 신격화하지 않는다는 점을 명확히 했다. 서 목사의 증언은 오히려 많은 사람들의 회개와 구원에 이르게 하는 목적으로 설명된다고 강조했다.
이에 더해 서사라 목사가 도덕적 타락이나 사회적 문제를 일으킨 바 없고, 자신이 하나님과 직접 교통하는 존재라는 식으로 자신을 신격화하지 않았다는 점도 평가했다.
만일 필요할 경우, 공개적인 학술 논의 및 공개심포지엄 등의 공개된 장에서 논의될 수도 있다는 여지도 남겼다.